강병중

강병중입니다

Home   >   강병중입니다   >   메시지

메시지

게시판 상세페이지
진주에서 동남권 활력 찾자

        
<2011년 10월12일 국제신문 CEO 칼럼>
 
수도권의 위세에 가려져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지만, 경남은 대단한 지역이라고 할 만하다. 1960년에 처음으로 인구가 400만 명 이상으로 늘었으나, 불과 3년 후인 1963년 1월 부산이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136만 명을 분가시키고 인구가 317만 명으로 크게 줄었다. 그 후 30여 년이 지난 1996년에 다시 400만 명을 넘어섰으나, 그 다음 해인 1997년 7월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또다시 101만 명을 분가시켜주고 305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그렇게 많은 주민과 토지가 행정구역을 바꿨는데도 현재 인구가 330만여 명으로 경기, 서울, 부산에 이어 전국 4위다. 또 지역 내 총생산(GRDP)은 서울, 경기에 이어 3위로, 경남보다 인구는 많으나 6위에 머문 부산을 앞지른다. 울산도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인구는 15위이지만 GRDP는 7위다.


현재의 경남은 물론이고 예전에 분리되기 전인 경남, 즉 부울경 또는 동남권이라고 부르는 지역의 이처럼 대단한 힘은 현재까지는 수도권을 제외하고 따라오는 지역이 없다. 그래서 필자는 1990년대부터 부울경의 힘을 합쳐 수도권에 대칭되는 지역을 만들자고 주장해왔다.
그런데 부울경에서 소외된 지역이 있다. 진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경남이 그곳이다. 동쪽 울산에서 시작되는 공업벨트는 양산, 김해, 창원, 거제까지 이어지다가 서부에까지 오지 못하고 중부경남에서 그냥 뚝 끊어진다.
서부경남의 중심도시인 진주까지 공업벨트 뻗어나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 바람에 서부경남은 강원도의 휴전선 접경지역 등지와 더불어 전국 6대 낙후지역이라는 수모를 당하고 있다.
 
1995년 진주시와 진양군이 합쳐진 당시의 진주통합시 인구가 33만 명을 조금 넘었는데, 지금 인구도 그 때와 비슷하다. 예전에 경남이 하나였을 때 상당 기간 경남의 도청 소재지였던 진주는 부산, 마산과 함께 3대 도시였고, 그 때는 동부 중부 서부 이렇게 경남 전체가 균형을 이루었다. 그러나 그 균형이 깨어진 지가 오래됐다. 진주를 뒤에 남겨놓고 부산, 울산, 창원 등 동쪽만 발전했던 것이다. 필자의 고향인 진주 이반성면은 수십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은 모습의 전형적인 농촌지역인데, 인구만 대폭 줄었다.


그런 진주가 조금씩 변하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진주 정치권과 각계각층 인사들, 또 모든 시민이 하나가 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를 유치했다. LH뿐 아니라 11개 기관도 함께 이전해서 혁신도시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여기다 진주 사천에 80만~90만 평 규모의 '경남항공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1980년대 대동공업이 떠나면서 제조업의 활기를 잃은 이후 정말 오랜만에 보는 공업화 바람이다. 대기업 계열사도 들어오고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많이 부족하다. 가능한 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현재 80만 평 규모인 항공우주산업단지와 연계되는, 기계 등 다른 업종의 산업단지들을 함께 만들어 300만 평 규모로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지금 세계 각국의 화두는 제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다. 실리콘 밸리를 중심으로 많은 벤처기업들이 첨단기술을 끊임없이 개발해 온 미국도 생산 현장이 중국 등 아시아로 이동하는 바람에 일자리 창출에 혈안이 돼 있다. 의욕을 갖고 동분서주하고 있는 진주의 제조업 확장에 동남권 전체가 관심을 기울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공단의 신설과 확장을 통해 일자리를 만드는 것과 더불어 서부경남의 몇 개 시·군이 통합을 해서라도 중심도시의 인구를 100만 명 수준으로 늘리는 것도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부울경 통합이 자주 거론되는 시기여서 서부경남의 지자체 통합에 대한 긍정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진주를 명실상부한 서부경남 축이 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동남권 공업벨트에 들어가게 하고, 동남경제권이 부산, 울산, 창원, 진주 등 4대 축을 중심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전체 국토의 균형발전이 중요하듯, 부울경의 균형발전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이전글 수도권정비법이 흔들리고 있다
다음글 부·울·경 상생을 위한 경제계의 역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