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중

강병중입니다

Home   >   강병중입니다   >   메시지

메시지

게시판 상세페이지
[기고] 남강댐 물, 부산·경남 상생의 씨앗
[기고] 남강댐 물, 부산·경남 상생의 씨앗

/강병중 넥센타이어· KNN 회장

지난 8월 하순 낙동강에 녹조가 확산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 아니나 다를까 환경운동연합과 대한하천학회가 일본 녹조 전문가와 함께 공동조사한 결과 낙동강 창녕함안보 근처에서 채취한 남조류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성 물질을 검출했다고 한다. 이 물질은 간이나 소화기 계통 질병을 유발하고 심하면 간암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낙동강 물을 퍼서 정수 처리한 부산 수돗물에서도 결국 유해물질이 검출되었다. 지난 8월 덕산정수장에서 정수한 수돗물에서 총트리할로메탄이 국내 기준치 이하라고 하지만 지난 10년 동안 최고치로 나타났으며, 클로로포름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들 물질은 대부분 발암물질이며 중추신경계에 악영향을 미쳐 의식불명, 혼수상태를 유발한다고 한다. 낙동강 물이 오염되면 고도정수처리를 거쳐도 안심하고 마실 수 없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한마디로 부산 수돗물에 적색경보가 내려진 것이다. 낙동강에 녹조가 확산된 것은 지난여름 폭염이 계속됐기 때문이지만, 해마다 되풀이될 가능성이 높다. 강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천문학적 예산을 투입한 보(洑)를 철거하기도 쉬운 일이 아니다.

360만 인구가 안심하고 마실 식수원을 확보하지 못한 부산으로선 낙동강의 크고 작은 오염 소식에 화들짝 놀랄 수밖에 없다. 남강댐 물과 강변여과수를 끌어들이는 광역상수도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발표가 나온 지 여러 해가 지났는데도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지리산 댐 건설과 남강댐 물 부산 공급을 둘러싼 정부와 경남도, 환경단체의 입장은 제각각이다. 경남도는 지리산 댐을 다목적 댐으로 건설하여 부산과 창원 등 중부경남에 식수로 제공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정부는 홍수조절용으로 용도를 제한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단체 및 인근 주민들은 환경 파괴를 이유로 댐 건설 자체를 반대하고 있다. 경남도는 취수원이 확대되지 않으면 남강댐 물이 2.8년마다 1회 부족하다는 이유로 물 공급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하나, 부산시는 연(年) 단위가 아닌 일(日) 단위 이수안전도를 적용해야 한다며 경남도의 연구 결과를 반박하고 있다. 부산시는 남강댐 수위를 높이지 않아도 평소 수량만으로 하루 65만t 공급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수자원관리 책임은 정부에 있고, 맑은 물을 공급해야 할 책무도 정부에 있기 때문이다.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지리산 다목적댐을 건설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 취수원을 확대하지 않고도 남강댐 물 여유량이 얼마나 되는지 엄정하게 측정해야 한다. 그 결과가 나오면 주민들과 환경단체, 해당 지방자치단체들을 충분하게 설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수자원 확보라는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해 일관되게 추진해야 한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가 내년 중에 진주에 사무실을 설치하고 직원을 파견한다는 소식이다. 남강댐 물 공급을 둘러싼 갈등이 재점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지만, 부산의 절박한 사정을 알리고 서부경남 주민들의 이해를 구하려는 취지라고 판단된다. 물이 부족할 때는 취수를 하지 않고 유량이 남을 때만 가져와 인근 주민들에게 전혀 피해를 주지 않겠다는 부산의 입장을 충분히 전달할 필요가 있다. 경남대 지방자치연구소가 지난 2월 만 20세 이상 경남도민 2천085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 남강댐 물 부산 공급에 43.6%가 찬성하였고 반대의견은 35%에 그쳤다. 경남 도민들이 반발할 것이라는 막연한 예상과는 달리, 여론은 물을 나눠 마시자는데 힘을 실어주었다.

정부가 수자원 확보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고, 부산시는 서부경남 주민들의 이해를 정중하게 구해야 한다. 경남도민들은 이웃사촌과 도움을 주고받는 '홍익인간'의 정신을 발휘해주길 바라마지 않는다.

부산일보 2015년 9월 20일 게재
이전글 [특별기고]남강댐 물, 상생의 마중물로
다음글 [특별기고] 진주 백년대계, 교육경쟁력 강화부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