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중

강병중입니다

Home   >   강병중입니다   >   메시지

메시지

게시판 상세페이지
[기고] 유재수 경제부시장 내정자에 거는 기대
[기고] 유재수 경제부시장 내정자에 거는 기대
/강병중 넥센타이어·KNN 회장

오거돈 부산시장 당선인의 첫 인사가 크게 주목받았다. 금융정책 전문가가 경제부시장에 발탁되었기 때문이다.
유재수 내정자는 부산과 연고는 없지만 재정경제부 산업금융과장, 자본시장과장, 금융위원회 정책국장 등 금융정책과 관련된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또 청와대에서 근무했고 국회 수석전문위원을 지냈으므로 정무적 역량을 갖추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09년 1월 정부는 ‘금융중심지의 조성과 발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내에 두 개의 금융중심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서울을 종합금융중심지로, 부산을 해양·파생상품 특화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었다.
이에 따라 문현금융단지에 부산국제금융센터가 세워졌고,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 본사가 부산으로 이전됐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자산관리공사, 해양금융종합센터, 한국해양보증보험, 한국선박해양 등 31개 기관이 들어와 38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올 7월에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설립되고, 9월에는 부산금융전문대학원이 개원한다.

동의대 배근호 교수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공공기관 이전 덕분에 3274명이 부산으로 옮겨왔고 부산의 지방세 수입이 4059억 원 증대했다. 그러나 “동북아 금융허브를 표방하면서 만들어진 문현금융단지가 외로운 섬처럼 고립돼 있다”는 오 시장 당선인의 지적에 공감할 수밖에 없다.

금융시장은 부산에 있으나 거래는 서울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이전해오거나 신설된 민간 금융투자회사를 찾아보기 어렵다.
2005년 선물거래소와 증권거래소가 통합하여 한국거래소의 본사가 부산에 자리 잡았으나 시장 운영의 핵심기능과 주요 업무는 서울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통합 이전에 부산에 있었던 선물회사들마저 서울로 떠나버렸다.
세계 각국의 거래소가 소재한 도시처럼 기본 기능에 충실할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지리적 이점을 가진 싱가포르나 중국 대륙 남단에 위치한 홍콩과 같은 국제금융도시로 발전하기가 요원한 현실이다.
부산은 2015년 국제금융센터지수(GFCI)에서 24위, 단기발전 가능성 평가 3위까지 올랐으나 지난해 9월 GFCI 순위가 70위까지 하락했다가 올 3월 49위로 약간 상승했을 뿐이다. 싱가포르가 적극적인 금융산업 육성 의지를 갖고 조세특례 정책을 펴고 획기적인 규제 완화 조치로 세계적인 투자은행을 유치한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선물거래법이 제정된 직후인 1996년 2월부터 선물거래소 유치운동을 펼쳐온 필자는 1999년 4월 선물거래소가 부산에 세워지자 홍콩이나 싱가포르 같은 국제금융도시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지 19년이나 지났어도 국제금융센터 건물 하나를 제외하면 알맹이를 찾아보기 어렵다.
그뿐만 아니라 걸핏하면 한국거래소 본사의 서울 이전 이야기가 나온다.


해운·조선·수산과 금융을 연결하는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부산만의 금융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금융중심지에 대한 규제 완화도 절실하다.
이전해오는 금융기관의 내·외국인 종사자들을 위한 정주 환경도 마련돼야 한다. 제2의 국제금융센터도 필요하다.
물론 금융기관 스스로 노력하고 해결해야 할 몫이 적지 않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나 예산을 투입해야 할 부분은 부산시가 앞장서야 할 것이다.
유재수 경제부시장 내정자가 주도해야 한다. 유 부시장은 ‘세계를 뒤흔든 경제대통령들’이라는 저서에서 경제정책 결정자 18인의 영광과 좌절을 소개할
정도의 경제 전문가가 아닌가.

1990년대 부산은 국토종합개발계획에 따라 금융산업이 특화되도록 지정됐다.
선물거래소가 설립되었고 통합거래소로 발전했으며 국제금융센터도 지어졌다.
지난 20여 년 동안 부산시민의 염원에 힘입어 추진해온 국제금융도시의 꿈이 무너지거나 유명무실해서는 결코 아니 될 것이다.
부산시가 추진 중인 ‘해양 수도’는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금융중심지 활성화가 부산의 절실한 과제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금융중심지가 활성화되면 시대의 화두인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될 수 있다.

2018년 6월 28일 국제신문게재
이전글 [기고] 한국거래소 신임 이사장에게 바란다
다음글 [기고] 산은·수은 유치, 부산 금융도시의 초석

목록